서울노동권익센터

서울노동포털

서울노동권익센터

노동자가 행복한
노동존중 세상

서울노동권익센터가 함께 하겠습니다.

노동자가 행복한
노동존중 세상

서울노동권익센터가 함께 하겠습니다.

노동자가 행복한
노동존중 세상

서울노동권익센터가 함께 하겠습니다.

노동자가 행복한
노동존중 세상

서울노동권익센터가 함께 하겠습니다.

노동자가 행복한
노동존중 세상

서울노동권익센터가 함께 하겠습니다.

  • 센터소개
    • 인사말
    • 비전·CI·캐릭터
    • 연혁·걸어온길
    • 조직도
    • 오시는 길
  • 센터소식
    • 공지사항
    • 센터활동
    • 언론소식
  • 사업안내
    • 사업 한눈에 보기
    • 법률지원
    • 정책교육
    • 노동안전
    • 감정노동
    • 정보화·홍보
    • 쉼터운영
  • 신청하기
    • 신청하기
  • 자료실
    • 센터연구자료
    • 센터일반자료
    • 외부자료
    • 미디어자료
메뉴마스크
  • 센터소개
    • 인사말
    • 비전·CI·캐릭터
    • 연혁·걸어온길
    • 조직도
    • 오시는 길
  • 센터소식
    • 공지사항
    • 센터활동
    • 언론소식
  • 사업안내
    • 사업 한눈에 보기
    • 법률지원
    • 정책교육
    • 노동안전
    • 감정노동
    • 정보화·홍보
    • 쉼터운영
  • 신청하기
    • 신청하기
  • 자료실
    • 센터연구자료
    • 센터일반자료
    • 외부자료
    • 미디어자료
검색

  • 센터연구자료
  • 센터일반자료
  • 외부자료
  • 미디어자료
공유하기
  • 블로그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url복사
인쇄

센터연구자료

  • 홈
  • 자료실
  • 센터연구자료
동북권 서울시 노동자종합지원센터 2022년 산재 상담 통계
분류
연구보고서
출처
동북권 서울특별시 노동자종합지원센터
발행일
2023-01-06
첨부파일

 





■ 사업개요

○ 노조가 조직되어 있는 사업장이나 대기업 노동자는 산재가 발생할 경우 신청, 보상, 요양 등에 안내자나 조언자가 가까이 있어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나 취약계층 노동자는 산재를 당해도 그것이 산재에 해당하는지조차 모르고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하는지 난감한 것이 보편적 실정

○ 이들 취약계층 노동자를 대상으로 산재 신청에 대한 방법과 산재 인정에 대한 기준을 설명하고, 산재로 인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산재 상담은 노동 상담과 함께 본 센터의 중요한 일상 사업으로 자리함

 


■ 진행사항

 

1. 계획

○ 센터 내 상시 노동상담과 병행 산재상담 실시

○ 산재 전담 노무사 지정 운영

○ 연말 산재 상담 별도 통계

 

2. 추진실적

○ 센터 내 자문 노무사 상시 상담 및 피해구제 지원

   - 평일 오전 10시 ~ 오후 5시, 노동상담과 병행

   - 법률구제 필요시 노동권익개선팀 협조

○ 산재 전담 노무사 지정, 심층 상담 실시

   - 센터 내 자문 노무사 중 김대건 노무사

○ 산재 상담 통계 : 2022년 본 센터 산재 상담 126건

 

3. 산재 상담 통계

○ 상담 내용별

   - 산재를 어떻게 어디에서 신청하는지, 어떠한 서류가 필요한지 등 산재 ‘신청’에 대한 상담은 전체의 15%(19건)

   - 업무상에 재해에 해당되는지, 직업 관련성 질병에 해당하는지 등 산재 ‘인정’에 대한 상담은 빈도가 가장 높은 37%(47건)

   - 어떠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보상금은 얼마 정도인지, 보상금을 더 받을 수 있는지 등 산재 ‘보상’과 관련한 상담은 14%(18건)

   - 요양 및 재요양이 가능한지 등 산재 ‘요양’ 관련 상담은 4%(5건)

   - 산재로 처리할 경우와 산재로 인한 요양기간 완료 후 퇴사 요구 등 산재 관련 ‘불이익’ 상담은 6%(8건)

   - 이 외에도 요양 후 퇴직금 산정시 요양기간이 평균임금에 포함되는지 등 기타 상담이 23%(29건)


상담내용

신청

인정

보상

요양

불이익

기타

계

상담횟수

19

47

18

5

8

29

126

점유율

15%

37%

14%

4%

6%

23%

100%

  

○ 상담 경로별

   - 상담 경로별로는 SNS를 통한 상담이 17%(21건)

   - 본 센터를 방문해 상담한 경우가 21%(26건)

   - 오픈 채팅방,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상담이 20%(25건)

   - 전화를 통한 상담이 가장 많은 39%(49건)

   - 찾아가는 노동상담을 통한 경우가 4%(5건)


상담경로

SNS

방문

온라인

전화

찾아가는 노동상담

계

상담횟수

21

26

25

49

5

126

점유율

17%

21%

20%

39%

4%

100%

 

○ 상담 시기별

   - 월별 상담 횟수는 1월이 6%(7건), 2월 11%(14건), 3월 6%(8건), 4월 7%(9건), 5월 8%(10건), 6월 6%(7건), 7월 10%(12건), 8월 7%(9건), 9월 21%(26건), 10월 6%(7건), 11월 9%(11건), 12월 5%(6건)


상담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계

상담횟수

7

14

8

9

10

7

12

9

26

7

11

6

126

점유율

6%

11%

6%

7%

8%

6%

10%

7%

21%

6%

9%

5%

100%

 

○ 상담 처리결과별

   - 상담 처리 결과에 따라서는 종결이 가장 많은 91%(115건)을 나타냄

   - 재상담과 지속상담은 6%(7건)

   - 권리구제지원은 3%(4건)


처리결과

종결

재/지속상담

권리구제지원

계

상담횟수

115

7

4

126

점유율

91%

6%

3%

100%



 


4. 추진성과 및 개선방안

○ 2021년도 산재 상담에서는 배달 플랫폼 노동자가 오토바이 운행 중 사고를 당하면 산재 처리가 가능한지 등 산재 인정 관련 상담이 50%를 차지했으나 금년도는 37%로 13%p나 감소함

○ 이는 일부 특수고용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산재보험 가입 대상과 자영업자 등에 대한 임의 가입 확대 등의 정책이 시행되고 정부와 노동 관련단체의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일반 시민의 산재 처리에 대한 인식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여겨짐

○ 2022년 상담에서는 특히 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산재 처리 절차와 인정 가능여부를 묻는 경우가 눈에 띄게 많아져 금년에 직장내 괴롭힘 예방을 위한 홍보·캠페인 사업을 집중할 필요성이 제기됨

○ 또 산재 상담이 집중되는 시기는 산재 발생 또한 비례적으로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이 시기 직전에 산업안전·보건 캠페인 및 홍보를 적극 전개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음

○ 노동상담 데이터 베이스 입력 시스템에서는 산재 코드가 별도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별도의 키워드를 삽입해 사용하고 있으나 한 번 더 검색, 분류를 해야 하므로 번거로움과 정확성을 위해서는 입력 시스템이 개선돼야 할 것으로 판단됨


  • 다음글
  • 이전글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센터소개
  • 오시는 길
  • 건의함

서울시 공공기관

  • 서울특별시
  • 서울노동포털
  • 서울일자리포털
  • 서울복지포털
  • 서울주거포털
  • 서울외국인포털
  • 서울근로자건강센터
  • 서울고용센터
  • 서울지방고용노동청
  • 서울지방노동위원회
  • 근로복지공단
  • 고용산재보험토털서비스
  • 희망드림 근로복지넷
  • 산업재해보상심의위원회
  • 한국산업인력공단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국가인권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서울시 산하기관

  • 어르신돌봄종사자종합지원센터
  •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 서북권직장맘지원센터
  • 서남권직장맘지원센터
  • 서울시 자영업지원센터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 서울광역청년센터
  • 서울시 50플러스포털

서울시 노동센터

  • 도심권 서울특별시 노동자 종합지원센터
  • 동남권 서울특별시 노동자 종합지원센터
  • 강서구 노동복지센터
  • 강북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관악구 노동복지센터
  • 광진구 노동복지센터
  • 구로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노원 노동복지센터
  • 도봉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마포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서대문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성동 근로자복지센터
  • 성북구 노동권익센터
  • 영등포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용산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은평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중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 중랑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07244)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44길 10 서울시 노동자복지관 4층

  • 대표번호: 02-6925-4349
  • 상담번호: 1661-2020
  • 대표이메일: labors@labors.or.kr

copyright(c) 서울노동권익센터. all rights reserved.

  • 유튜브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상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