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서울지역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실태와 네트워크 활성화방안 |
---|
|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Ⅱ. 풀뿌리 노동커뮤니티의 개념 1. 지역 사회의 개념과 지역 노동조합주의 2. 풀뿌리 노동커뮤니티의 개념 3. 국내외 커뮤니티 지원 사례 1) 국내 사례 2) 국외 사례 4. 시사점 Ⅲ. 설문조사를 통해 본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실태 1. 조사개요 1) 응답자 특성 2) 소속단체 유형 및 활동현황 2. 사업 중요성 인식과 실제 우선 집행하는 사업 비교 1) 현재 단체에서 하는 사업의 중요성 인식 2) 실제 우선적으로 집행하는 사업 3) 사업별 중요도 인식과 실제 우선 집행 사업 비교 3. 현재 단체활동 시 고충 1) 성별 2) 연령별 3) 소속 단체 유형 4) 단체규모별 5) 소속 단체에서의 지위 4. 타 단체와의 네트워크 실태 1) 단체 유형별 2) 단체규모별 5.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활동실태 1)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참여 경험 2) 참여한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유형 3)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운영평가 4)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중요성 인식 5)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비활성화 이유 6)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활성화로 인한 기대효과 6. 정책수요 1) 공공기관의 지원을 받은 경험 2) 예산 지원을 받았던 기관 3) 노동커뮤니티 사업 건수 4) 커뮤니티 지원 사업을 알게 된 경로 5) 커뮤니티 공모사업 응모 시 고충 6)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공모사업 참여 희망 의사 여부 7) 하고 싶은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유형(중복응답) 8)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사전상담 필요성 9) 풀뿌리 노동커뮤니티에 필요한 컨설팅 7. 시사점 Ⅳ. 면접조사를 통해 본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실태 1. 조사 개요 1) 심층면접 및 초점집단면접(FGI) 2) 면접 참여자 2. 풀뿌리 노동커뮤니티의 활성화 사례 1) 서울시 중간지원조직을 통한 활성화 사례 2) 지역노동단체를 통한 활성화 사례 3) 노동조합을 통한 활성화 사례 3.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실태 1) 노동관련 자조모임 2) 자조모임의 결성과정 3) 자조모임의 활동상황 4)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활동을 통한 변화 5) 풀뿌리 노동커뮤니티의 운영상 고충 4. 지역에서의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필요성 1) 현재 노동조합 활동의 한계점 2) 미조직·비정규 노동자 조직화의 기반 3) 노동조합 활동의 영역 확장 4) 노동에 대한 인식 개선의 필요성 5) 노동시민으로서 정체성 확립 5.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정책수요 1) 성장단계별 체계적인 지원 활성화 2) 지역기반 노동자 모임공간 제공 활성화 3) 지역 기반 컨설팅 등 사전 상담 활성화를 통한 모임 운영 지원 4) 모임 활성화를 위한 촉진자(퍼실리테이터) 지원 5)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간 네트워크 활성화 6) 자조모임 성장 후 자립을 위한 지원 6. 시사점 Ⅴ. 풀뿌리 노동커뮤니티의 확산과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 정책방향 1) 지속가능한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지원 방안 마련 2)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유형 발굴과 맞춤형 지원 방안 모색 2. 정책과제 1)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지원 추진체계 구축 2)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지원 컨설팅단 운영과 지원 담당자 배치 3) 노동자 맞춤형 모임 공간 정보 제공과 확보 4) 풀뿌리 노동커뮤니티 운영 촉진자 활동비 지원 5) 플뿌리 노동커뮤니티 주체 발굴과 지원 6) 풀뿌리 노동커뮤니티와 지역사회 간 네트워크 활성화 참고문헌 부 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