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페인 폭염 속 쉼표하나, 2024 이동노동자 생수나눔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폭염 속 쉼표하나, 2024 이동노동자 생수나눔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지난 6월 12일 수요일 오전 10시 30분, 청계천 장통교에서2024 이동노동자 생수나눔 캠페인이 성황리에 개최됐습니다. 서울특별시,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수도권기상청, 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서울시노동센터협의회, 사랑의 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금융산업공익재단은<2024 이동노동자 생수나눔 공동사업단>을 구성,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습니다. 조영권 마포구노동자종합지원센터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번 캠페인에는 조완석 서울특별시 노동정책담당관, 하형소 서울지방고용노동청장, 신동현 수도권기상청장,고광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장, 방세웅 서울시노동센터협의회 의장, 임승운 서울노동권익센터장,김지수 라이더유니온 사무국장, 이병영 퀵서비스노동조합 교육선전국장, 김정훈 배달플랫폼노동조합 남서울지부장 등공동사업단 소속 관계자들과 이동노동자 분들이 참석해주셨습니다. 각 기관 대표자분들의 여는 발언과 이동노동자분들의 인사말이 이어지고 단체촬영 및 포토타임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어 본격적인 생수나눔과 더불 가수 하림씨의 공연도 이어졌습니다. 이번 캠페인에는 생수이외에 쿨키트(쿨스카프, 쿨토시, 물티슈), 선스틱, 발수코팅제, 김서림방지제, 안전야광스티커 등의 홍보물품도 함께 나눠드렸습니다. 이날 캠페인 시작으로 서울시 권역 및 자치구 노동센터, 휴서울노동자쉼터(4곳), 자치구쉼터 등에서는 이동노동자 분들에게 무료로 시원한 생수를 나눠드릴 예정입니다. 이날 캠페인 참석자들은 생수나눔 캠페인을 계기로 이동노동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수 있도록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2024.06.13
지원사업 2024 템플스테이 - 달빛 품속에서 휴식
2024 서울노동권익센터 템플스테이달빛 품속에서 휴식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취약노동자와 함께하는 템플스테이를 지난 6월 1~2일, 1박 2일동안 강원도 평창 월정사에서 진행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자연 친화적인 환경에서 휴식을 취하고 명상, 염주 만들기, 선재길 걷기 등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가지며취약노동자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진행됐습니다. 이번 템플스테이에는 공동주택 경비노동자, 돌봄노동자, 그리고 기타 노동자 등이 참가했습니다.프로그램에 참여한 한 노동자는 "바쁜 일상 속에 작은 휴식을 잠깐 잊고 살았는데 이렇게 좋은 시간을 마련해줘서 진심으로 즐겁다"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앞으로도 다양한 노동자들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을 통해노동자와 함께하는 서울노동권익센터로 거듭나겠습니다.
2024.06.07
교육/강연 찾아가는 감정교육(5~6회차)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찾아가는 감정교육 5~6회차● 일시: 2024년 6월 4일(화)~5일(수) 18:00 ~ 19:30● 교육주제 : 사업주/관리자 교육, 권리보장(법률) 교육● 참여기관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진행강사 : 김경식 공인노무사 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는 감정노동자, 사업주/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위한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은 감정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인식과 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참여 및 문의emotion@labors.or.kr / 070-4610-2479
2024.06.06
업무협약 대구노동권익센터, 고양시노동권익센터와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지난 5월 31일(금) 대구노동권익센터, 고양시노동권익센터와 취약노동자 지원과 권익보호, 노동을 존중하는 사회적 기반 조성을 위해적극 협력하기로 하고 <센터간 교류와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권상원 서울노동권익센터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김위상 국회의원, 김기철 한국노총 서울지역본부 의장, 노인철 동남권 서울특별시 노동자종합지원센터장 등을비롯한 여러 내외빈 분들이 참석해주셨습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 대구노동권익센터, 고양시노동권익센터는1. 취약노동자 지원과 권익 보호에 관한 공동 협력2. 노동을 존중하는 사회적 기반 조성에 관한 공동 협력3. 노동존중 문화 조성 및 시민 인식개선에 관한 공동 협력4. 기타 상호 발전과 우호 증진을 위한 공동 협력 등을 위해상호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은 단체촬영을 진행했습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대구노동권익센터, 고양시노동권익센터 등과의센터간 교류와 협력을 적극 추진해나갈 예정입니다.
2024.06.03
교육/강연 찾아가는 감정교육(3~4회차) -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찾아가는 감정교육 3~4회차● 일시: 2024년 5월 30일(목)~31일(금) 10:00 ~ 13:00● 교육주제 : 권리보장(마음돌봄) 교육● 참여기관 :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진행강사 : 김경선 심리상담사 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는 감정노동자, 사업주/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위한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은 감정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인식과 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참여 및 문의emotion@labors.or.kr / 070-4610-2479
2024.06.01
교육/강연 찾아가는 감정교육(2회차) - 금천구 시설관리공단
찾아가는 감정교육 2회차● 일시: 2024년 5월 30일(목) 10:00 ~ 11:30● 교육주제 : 권리보장(법률) 교육● 참여기관 : 금천구 시설관리공단● 진행강사 : 김근희 공인노무사 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는 감정노동자, 사업주/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위한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은 감정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인식과 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참여 및 문의emotion@labors.or.kr / 070-4610-2479
2024.05.31
교육/강연 찾아가는 감정교육(1회차) - 서울시설공단
찾아가는 감정교육 1회차● 일시: 2024년 5월 28일(화) 10:00 ~ 13:00● 교육주제 : 감정노동 보호 매뉴얼 교육● 참여기관 : 서울시설공단● 진행강사 : 김유경 공인노무사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는 감정노동자, 사업주/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위한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은 감정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인식과 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참여 및 문의emotion@labors.or.kr / 070-4610-2479
2024.05.29
기타행사 구의역 참사 8주기 시민추모식을 진행했습니다.
구의역 참사 8주기 시민추모식다음 김군에게 안전한 일터를!5월 28일은 현장실습생 김군이 구의역 스크린도어를 혼자 수리하다전동열차에 치여 목숨을 잃은지 8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서울시노동센터협의회 소속 광역ㆍ권역ㆍ자치구 노동센터는 28일(화) 구의역에서<구의역 참사 8주기 시민추모식>을 개최하고참가자들은 김군의 안타까운 죽음을 다시금 기억하고다음 김군에게 보다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 줄 것을 함께 기원했습니다. 이날 추모식에는 이정헌 국회의원 당선자(광진갑)을 비롯하여 김영옥ㆍ박유진ㆍ전병주 서울시의원,김미숙 故김용균 재단 이사장, 박은하 노무사, 박효진 청년노동자, 가수 하림,방세웅 서울시노동센터협의회 의장, 임승운 서울노동권익센터장을 비롯한서울시노동센터협의회 소속 관계자들이 참가했습니다. 김영희 중랑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추모식은 여러 내외빈들의 인사말과 더불어김미숙 이사장, 박은하 노무사, 박효진 청년노동자의 추모발언이 이어졌고가수 하림의 특별 추모공연이 개최됐습니다. 1부 추모식을 마친 참가자들은 구의역 참사가 있었던 승강장 9-4로 이동해서 김군을 추모하는 헌화와 추모메시지를 남겼습니다. 참가자들은 다음 김군에겐 보다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를 위해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다짐했습니다.
2024.05.29
회의 2024년 제1차 서울 갈등관리 네트워크 회의(워크숍) 개최
2024년 제1차 서울 갈등관리 네트워크 회의- 일시: 2024. 5. 23.(수) 14시 ~ 16시- 장소: 전태일기념관 교육실- 참여기관 : 10개 기관서울도서관, 서울의료원,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한국우편사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GKL, 감정노동전국네트워크, 다산콜센터 노동조합,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구)서울감정노동센터에서 운영하던 '서울 감정노동 네트워크'는논의 범위를 확대해 '서울 갈등관리 네트워크'로 운영됩니다.각 기관의 감정노동&조직문화 현안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 논의했습니다.네트워크는 올해 조직문화 개선 캠페인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올해 6월부터 시작되는 '상호존중 조직문화 캠페인'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4.05.27
교육/강연 [영상] 2024년 종합소득신고 세무 특강 (1~7강)
2024년 종합소득세 신고 세무 특강플랫폼, 프리랜서 노동자 분들의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한 세무 특강을 제작했습니다.임준택 세무사가 전해드리는 종합소득세 신고의 모든 것. 서울노동권익센터는 방문 및 온라인 세무상담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5월 종합소득세 신고 서울노동권익센터와 함께 하세요~1강 종합소득세 개념https://youtu.be/wXOI1FL5xTw?si=6p1q2sD_03aWi7_1 2강 단순경비율 추계신고 방법https://youtu.be/u95Ugu76Vk8?si=pp8XFiozYiAzephm 3강 기준경비율 추계신고 방법https://youtu.be/jVDxgmADD4c?si=9pG_IPGiygknW7dm 4강 장부작성 신고방법https://youtu.be/LB3q18sgFCE?si=Zm3kaAjfxNmewdd5 5강 종합소득공제https://youtu.be/TTsDSDAHLjM?si=CGkZayuIVktVzQ6X 6강 세액공제https://youtu.be/PKqQD4TCTyQ?si=6FTjTXLZt7KoQtpN 7강 종합소득세 관련 가산세https://youtu.be/U003gf0e_mw?si=8kjgQMfykvJioSSx
2024.05.02
업무협약 마포주거상담소(주거안심종합센터)와 플랫폼, 이동노동자를 위한 찾아가는 주거복지상담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플랫폼, 이동노동자를 위한 찾아가는 주거복지상담 업무협약식이 지난 4월 30일(화) 오전 10시에 휴서울이동노동자합정쉼터 교육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이번 협약식에는 임승운 서울노동권익센터장과 이성원 마포주거상담소장을 비롯하여 각 기관 관계자분들이 참석하였습니다.서울노동권익센터와 마포주거상담소(주거안심종합센터)는합정쉼터 방문,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한 주거복지상담을 2023년부터 3월부터 11월까지 총 9차례 진행하였으며, 52명이 상담을 받았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서울시에서 일하는 플랫폼/이동노동자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협력하고 필요 시 각 기관의 자원을 연계하기로 하였습니다.
2024.04.30
업무협약 이동노동자 편의점 동행쉼터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식
이동노동자 편의점 동행쉼터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식이지난 25일(목) 오후 4시 서울시청 신청사 8층 제2간담회장에서 진행됐습니다. 이번 협약식엔 송호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 임승운 서울노동권익센터장, 박진수 (주)우아한청년들 라이더운영센터장, (주)이마트24 김성훈 지원담당 상무 등을 비롯하여각 기관 관계자분들이 참석했습니다. 권상원 서울노동권익센터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협약식은▲개회 및 참석자 소개 ▲축사(송호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 ▲인사말(임승운 서울노동권익센터장, 박진수 (주)우아한청년들 라이더운영센터장, (주)이마트24 김성훈 지원담당 상무)▲협약식 서명 및 교환 ▲기념사진 촬영 ▲사후환담 및 행사 마무리 등의 순서로 진행됐습니다. 이동노동자 편의점 동행쉼터는 이동노동자들에게 지리적, 시간적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서울시내 이마트24 편의점(약 900곳)을 이동노동자들의 쉼터로 활용하여이동노동자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동행쉼터는 5~6월 시범기간을 거쳐, 7~8월과 11~12월에 운영될 예정입니다.아울러 서울노동권익센터의 온라인서울노동아카데미와 (주)우아한청년들의 배민라이더스쿨을 통한 안전교육을이수한 이동노동자 4,000명에게는 편의점에서 이용가능한 쿠폰(1만원 상당)을 선착순으로 지급할 계획입니다. 이동노동자 편의점 동행쉼터 운영으로혹서기와 혹한기 이동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서울노동권익센터, (주)이마트24, (주)우아한청년들은이동노동자의 건강권을 보호하고 휴식을 지원하기 위해 향후에도 적극 협력해나가기로 했습니다.
2024.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