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강연 청(소)년 대상 중심 노동인권교육 : 서라벌 중학교 교육 사례
청(소)년 대상 중심 노동인권교육 : 서라벌 중학교 교육 사례7월 16일(화) 서라벌 중학교에서 노동인권교육이 있었습니다.3학년 5개 반에서 110명의 청소년들을 만나 다양한 참여수업이 진행됐는데요.[활동1] 이미지를 보고 어떤 단어가 떠오르시나요?그룹원이 무슨 단어인지 알아맞추고, 그림 그린 사람과 그룹원이 서로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었는지 나눴습니다.주제어는 바로 '인권', '노동' 2개 였는데요.5개 반에서 비슷하게도 사람과 주먹을 그린 경우가 많았고,사람=사람이라고 표현한 청소년이 있었습니다.[활동2] 그림책 속의 노동자 찾고 3x3빙고!짧은 동화 속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주변의 숨은 노동자들을 찾아보았습니다.한번 더 고민했던 청소년은 "야간 근로자요"라는 답을 하기도 했는데요.노동의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 시스템이 유지되는 것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일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습니다.[활동3] 노동법 퀴즈x보드게임마지막 활동수업으로 보드게임을 통한 노동법 퀴즈를 진행했습니다.임금과 휴일(가), 주휴수당, 근로계약서, 산업안전보건법, 직장 내 성희롱/괴롭힘 등 일터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노동문제들이 칸칸이 있었는데요.끝까지 노동법을 준수하며 승진(?)의 기쁨을 누린 은퇴자들이 여럿 나왔습니다.[청소년·청년 대상 중심 노동인권교육]은 청소년‧청년 대상의 기초노동법 지식 습득 및 노동인권 교육을 통해 감수성 향상 교육을 지원합니다.학교 밖 청소년, 탈가정 청소년, 자립준비 청년 등 대상별 맞춤 교육을 설계해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신청접수는 서울노동포털에서 가능합니다신청접수 바로가기 : https://www.seoullabor.or.kr/portal/edcIndiv/selectEdcIndiv.do?edc_seq=72(문의 070-4150-5255)
2024.07.19
교육/강연 「잠깐, 힐링」 프로젝트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 및 긱 워커 대상 힐링 프로그램 : 유월화실편)
「잠깐, 힐링」 프로젝트(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 및 긱 워커 대상 힐링 프로그램 : 유월화실편)❍ 교육취지- 홀로 일하는 경우가 많은 프리랜서/긱 워커 분들에게 소통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즐거운 미술 체험을 제공하여 삶에 대한 용기과 행복을 가지도록 도움 - 프리랜서/긱 워커의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참가자가 초단시간 일하는 중에도 잠시 시간을 내어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부담스럽지 않은 길이와 내용으로 수업을 운영❍ 교육참석자총 32명 ※ 한 강좌 당 8명 참석, 총 4강 진행 ❍ 교육장소유월화실 (서울시 용산구 새창로14길 22 1층)스트레스 풀리는 올록볼록 텍스처아트 - '첨벙첨벙, 바다 그리기년 6월 14일(금) 11:00~12:20 스트레스 풀리는 올록볼록 텍스처아트 - '나도 예술가, 추상화 그리기년 6월 14일(금) 14:00~15:20 썰고 으깨며 그려보자! 스테이크가 된 오일파스텔 - '풍경 그리기년 6월 21일(금) 11:00~12:20 썰고 으깨며 그려보자! 스테이크가 된 오일파스텔 - '좋아하는 꽃 or 음식 그리기년 6월 21일(금) 14:00~15:20 참여자 평 "너무너무 재밋고 그야말로 힐링이었어요.잘모르는 분야다보니 고민이고 뭐고할것도없고,자기계발이라거나 공부하는게 아니다보니 그냥 멍때려도되고....그런 멍때리는 시간이 넘아까운데 그렇게 멍때렸는데도 무언가 생산할 수 있다니 최고예요!""같이 참여하신 분들과 선생님들까지 즐거운 분위기에서그림 그리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짧은 시간에 들인 노력에 비해 괜찮은(?) 결과물을 얻어서오랜만에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 기분도 좋았어요!시간, 재료, 장소, 간식까지 아낌없이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프리랜서 하면서 들쑥날쑥한 수입에 요새 굉장히 많이 불안하고 우울한 감정들을 느꼈는데그림을 그리는동안 걱정없이 온전히 그림에 집중해보면서 우울함에서 벗어나 기분이 정화되었으며내 손으로 직접 그린 멋진 그림을 보면서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에너지도 받았습니다.너무나 유익하고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2024.07.17
교육/강연 2024 기획특강 '인종 자본주의와 우리의 노동'
자본주의 시대, 인종과 노동의 상관관계를 탐구하다! 정책교육팀에서는 6월 28일(금) 오후 2시, 관악복합평생교육센터에서<인종 자본주의와 우리의 노동> 을 주제로 특강을 개최하였습니다. 본 강의는 안티에그 매거진 김희량 시니어 에디터가 자본주의 형성 과정에서인종문제는 어떻게 관여되어 왔는가를 역사적으로 탐구해보며, 색인 인종 노동착취에 따른 인종 자본주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주었습니다.
2024.07.12
토론회 산업안전보건의 달 세미나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교육 실태와 개선방안'를 진행했습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지난 7월 4일(목) 오전 10시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토론회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2024년 산업안전보건의 달 세미나ㆍ우수사례 발표대회 일환으로상대적으로 열악한 작은 현장의 현실을 조명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논의해보는 자리였습니다 발제는 ‘소규모 건설현장의 노동자 안전교육 실효성 향상 방안과참여 주체별 역할’을 주제로 충북대학교 원정훈 교수님이,좌장으로는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의 최명기 교수님이 맡아주셨습니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현장에서 직접 일을 하고 계시는일용직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 안전관리자 등 현장 종사자분들을 패널로 모시고 진행되어현장의 생생한 경험과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사람의 의식을 바꾸는 것입니다.의식과 마음이 바뀌기 위해서는 안전문화가 정착되어야하고안전문화가 정착되기 위해선 안전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도 일터의 실효성 있는 안전교육과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지속적인 노력을 해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7.09
지원사업 플라워테라피 집단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치유전문가가 다양한 방식으로 지친 마음의 회복을 돕는집단치유 프로그램을 개인이 신청하고 방문하여 진행했습니다. 6월 27일에는 감정노동자 회복을 돕는 시간이었고,7월 4일에는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는 분들의 마음 회복을 돕는 시간으로 진행되었습니다.플라워테라피6월 27일 / 감정노동자(개인신청) / 강사 : 최은미 7월 4일 / 직장 내 괴롭힘 경험 노동자(개인신청) / 강사 : 최은미
2024.07.09
교육/강연 찾아가는 감정교육(11~13회차) - 120다산콜재단
찾아가는 감정교육 11~13회차● 일시 : 11회 - 2024년 7월 3일(수) 10:00 ~ 12:00 12회 - 2024년 7월 3일(수) 14:00 ~ 16:00 13회 - 2024년 7월 4일(목) 15:00 ~ 17:00● 교육주제 : 권리보장(마음돌봄) 교육● 참여기관 : 120다산콜재단● 진행강사 : 조문주 심리상담사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는 감정노동자, 사업주/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위한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은 감정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인식과 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참여 및 문의emotion@labors.or.kr / 070-4610-2479
2024.07.04
기타행사 2024 감정노동자 집단치유 프로그램 진행현황
서울노동권익센터가 함께 일하는 감정노동 종사 노동자들을 직접 찾아가고 있습니다.치유전문가가 다양한 방식으로 지친 마음의 회복을 돕는감정노동자 집단치유 프로그램 2024년 상반기 진행 현황입니다.많은 사업장에서 신청해주시고 진행 예정인 곳들도 많은 상태입니다.스트레스로 인한 감정소진에서 탈출하기! 5월 13일, 23일 / 사업장 : 서비스에이스 / 강사 : 김희정 내 스트레스를 부탁해 5월 16일, 17일 / 사업장 : 한전FMS / 강사 : 권복실 감정 해방일지(포토테라피) 5월 29일, 30일 / 사업장 : 아르코 대학로 예술극장 / 강사 : 여현심 스트레스로 인한 감정소진에서 탈출하기! 6월 3일 / 사업장 : 금천구 시설관리공단 / 강사 : 김희정 원예치료 6월 21일 / 사업장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 강사 : 서울도시농업기술센터 원예치료 6월 26일, 7월 3일 / 사업장 : 교육공무직본부 서울북부지회 / 강사 : 서울도시농업기술센터
2024.07.04
지원사업 주얼리ㆍ인쇄업 종사자를 위한 특수건강진단 지원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서울 도심제조업 종사자의 직업성 질환을 예방하고사후 건강관리를 위한 <특수건강진단 지원사업>을지난 6월 25일(화)부터 27일(목)까지 진행했습니다.<주얼리업 종사자 특수건강진단 지원사업 6.25~26><인쇄업 종사자 특수건강진단 지원사업 6.27>이틀동안 진행된 특수건강진단 지원사업에는주얼리업 종사자 70명, 인쇄업 종사자 26명이 참여해주셨습니다.3일동안 고생해주신 이대서울병원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드립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오는 8월 주얼리업 종사자를 대상으로특수건강진단 지원사업을 진행할 예정이고, 향후 경비노동자 대상으로 지원사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취약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습니다.
2024.06.28
교육/강연 찾아가는 감정교육(10회차) - 강서도로사업소
찾아가는 감정교육 10회차● 일시: 2024년 6월 21일(금) 13:00 ~ 15:00● 교육주제 : 권리보장(마음돌봄) 교육● 참여기관 : 강서도로사업소● 진행강사 : 오현정 심리상담사 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는 감정노동자, 사업주/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위한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은 감정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인식과 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참여 및 문의emotion@labors.or.kr / 070-4610-2479
2024.06.22
교육/강연 찾아가는 감정교육(8~9회차) - 서울교통공사 영업계획처
찾아가는 감정교육 8~9회차● 일시: 2024년 6월 17일(월), 19일(수) 15:00 ~ 16:30● 교육주제 : 사업주/관리자 교육● 참여기관 : 서울교통공사 영업계획처● 진행강사 : 김희영 공인노무사 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는 감정노동자, 사업주/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위한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은 감정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인식과 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참여 및 문의emotion@labors.or.kr / 070-4610-2479
2024.06.18
교육/강연 찾아가는 감정교육(7회차) - 서울물재생시설공단
찾아가는 감정교육 7회차● 일시: 2024년 6월 13일(목) 13:30 ~ 15:00● 교육주제 : 권리보장(법률) 교육● 참여기관 : 서울시설공단● 진행강사 : 김근희 공인노무사 서울노동권익센터에서는 감정노동자, 사업주/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위한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찾아가는 감정노동 교육’은 감정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인식과 제도를 활성화 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참여 및 문의emotion@labors.or.kr / 070-4610-2479
2024.06.14
상담사업 12일(수) 찾아가는 지하철 노동상담을 진행했습니다.
2024 찾아가는 지하철 노동상담- 6월 12일(수) 17:00~20:00 / 서울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장한평역서울노동권익센터는 지난 6월 12일(수) 일하는 서울시민 분들에게 바쁜 일상 속에서도편리하게 노동법률정보와 노동상담을 제공하기 위하여서울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장한평역 3곳서 '찾아가는 노동상담'을 진행했습니다. 일하는 시민들의 퇴근길 시간에 맞춰 저녁 5시부터 8시까지 진행되는 찾아가는 지하철노동상담은노동 관련한 여러 고민과 문제를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이 보다 쉼게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됐습니다. 찾아가는 지하철 노동상담에는 서울시에서 위촉한 공인노무사들이 직접 상담을 진행하여직장 내 괴롭힘, 임금체불, 부당인사명령(징계/해고), 산업재해보상 등 노동권익 침해 상담을 진행하고필요시 서울시 노동권리보호관의 조력을 받는 권리구제(소송 및 법률지원)까지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노동상담과 더불어 중소사업주를 대상으로 하는인사노무컨설팅,연말정산과 사업주 자문 등의 세무상담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는 서울시 노동자 분들의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관련 문의 : 서울노동권익센터 법률지원팀 070-4610-2624
2024.06.14